컴퓨터 일반 과목을 공부하기 위해 준비한
네트워크 및 보안 필기 요약본 입니다.
컴퓨터 개론 기초 공부에 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각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의 정의 등
o 핵심가이드
- 네트워크층에 해당하는 장비로는 라우터와 멀티 레이어 스위치가 해당되며 기능 및 동작원리 이해
- 데이터링크층에 해당하는 장비로는 브리지와 스위치가 있으며 기능 및 동작원리 이해
- 물리층에 해당하는 장비로는 허브와 케이블과 커넥터 등이 있으며 허브에 대한 기능 및 동작원리 이해
- 케이블과 커넥터에 대한 주요 사항 이해
(1) 각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들에 대해 학습
o 라우터는 리피터와 브릿지, 허브가 비교적 근거리에서 네트워크(LAN)를 통합하- 114 -
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반면, 라우터는 원거리에서 네트워크간 통합을위해서 사용되는 장비이다. 라우터를 이용해서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목적지로 데이타를 보낼 수 있으며, 원하는 곳의 데이타를 가져올 수도 있다.
o 멀티 레이어 스위치
- 멀티 레이어 스위치는 스위치 자체가 레이어2 장비이였는데 비하여 상위 계층으로 점점 올라가면서 TCP, UDP 등의 프로토콜에 대한 컨트롤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트래픽 제어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 L2(Layer 2) 스위치를 그냥 스위치라고 부르며, L3 스위치는 허브와 라우터의역할, 즉 스위칭허브에 라우팅 기능을 추가한 장비이고 L4 스위치는 서버나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로드밸런싱하는 기능을 포함한 장비이다.
o 브리지
- 브리지는 하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2개 이상으로 나누어서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장비이다. 하나로 통합해서 관리하기 위한 허브와 비교될 수 있다. 동일한 지역 네트워크에 있는 부서에서 호스트들을 2개로 분리하여 상호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o 스위치
-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스위칭 허브를 말하며, 더미 허브의 가장 큰 문제점인LAN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묶어버린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그먼트를여러 개로 나누어준다. A 호스트에서 B 호스트로 패킷을 보내려고 할 때, 더미허브는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패킷을 복사해서 보내지만 스위칭 허브는 B 호스트에게만 패킷을 보낸다. 스위칭 허브는 MAC주소를 이용해서 어느 세그먼트로 패킷을 보내야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맥 테이블(MAC table)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o 허브
- 허브는 일반적으로 더미 허브(dumy hub) 말하며, 허브 본래의 목적에 충실한허브이다. A 호스트가 B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때, 메시지는 허브로 전달되고, 허브는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만일 수신자가 아닌 호스트가 메시지를 받은 경우 자신에게 보내어진 패킷이아니라면 이 패킷은 버려지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전달되게 될 것이다.
o 리피터
- LAN 영역에서 다른 LAN 영역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2- 115 -
개의 LAN 영역을 하나의 LAN 영역으로 통합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데이타가 전달되어야 하는 망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매체인 전기적 신호가 감쇠되거나 잡음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신호감쇠와 잡음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일을 해주는 네트워크 세그먼트간 연결장치가 리피터이다.
TCP/IP 일반
1.2.1 IP Addressing
o 핵심가이드
- TCP/IP 프로토콜 개념 이해 및 IP 어드래싱 이해- IP 주소할당 방식, 구조 클래스 개념 이해- IPv6의 특징과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이해(1) IP 주소의 기본 개념
o TCP/IP 프로토콜은 1960년대 후반 이기종 컴퓨터간의 원활한 데이터통신을 위해 미 국방성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TCP/IP는 취약한 보안 기능 및IP주소 부족은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하는 업계 표준 프로토콜이며 현재는 거의 모든 컴퓨터가 이 프로토콜을 기본으로 제공되는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o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의 주소로써 유일한 IP 주소는 각 호스트와 TCP/IP를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네트워크 컴퍼넌트에 필요하다. IP 주소는 마치집주소를 이용하여 집을 찾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시스템의 위치를 찾는다. IP 주소는 32bit로 구성되고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구성되며 네트워크 ID는 IP 라우터에 의해 묶여져 있는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시스템을 구분한다.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시스템은 반드시 동일한 네트워크 ID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외부망에서는 네트워크 ID는 반드시 유일해야 한다. 호스트 ID는 네트워크내에서 워크스테이션,서버, 라우터, 기타 TCP/IP 호스트를 구분한다. 각 호스트의 주소는 반드시 네트워크 ID에 대해 유일해야 한다.
o IP 어드래싱은 컴퓨터가 LAN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호스트간 통신이 용이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IP, 넷마스크 등의 정보를 논리적으로 지정하여 부여하는 것도 포함하고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요약본 필기 답안 기초 이론 공부 (1) | 2022.08.03 |
---|---|
컴퓨터 일반 요약 네트워크 및 보안 파트 필기 공부 컴공 기초 이론 (0) | 2022.07.28 |
컴퓨터 일반 공부법 네트워크 보안 필기 요약 컴공 이론 (0) | 2022.07.25 |
2022년 토익 일정 토익 시험일 (0) | 2021.12.01 |
3월 29일 토익시험, 정상 운영? 취소? (0) | 2020.03.18 |